본문 바로가기

직장인의 일상과 연결된 정보

직장인이 스트레스를 받으면 왜 달달한 간식이 생각날까?

# 스트레스에 단 음식 

 

유독 일하기 싫은 날이었다. 무거운 몸을 이끌며 집중하려고 노력했다.

업무중에 달달한 간식이 너무 땡겼던 i는 1층 편의점에 갔다.

행사중이 초콜릿이 많아서 고르기 힘들었다. 고민끝에 2+1 행사를 하는 허쉬 초콜릿을 구매했다. 

사무실에 들어가자마자 순식간에 초콜릿 2개를 때려 먹었다. 그런데도 만족스럽지 않았다.

남은 1개를 다 먹어버릴까 생각했지만, 불어나는 뱃살을 보고 겨우 참았다. 😫

이렇게 스트레스를 받으면 당이 땡기고 생각나는 이유가 뭘까? 그리고 당분 중독의 원인은 무엇일까?

 

 

 

 

스트레스 받을 때 달달한 간식이 생각나는 이유

 

1. 코르티솔과 혈당 조절

스트레스를 받으면 신체는 코르티솔(Cortisol)이라는 스트레스 호르몬을 분비한다. 코르티솔은 혈당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우리 몸이 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고 착각하게 만든다. 이로 인해 빠르게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단 음식(초콜릿, 케이크, 사탕 등)이 당기게 된다.

 

2. 도파민과 보상 시스템

달달한 음식은 뇌에서 도파민(Dopamine) 분비를 촉진하여 일시적으로 기분을 좋게 만든다. 도파민은 쾌락과 보상과 관련된 신경전달물질로, 스트레스로 인해 불안하거나 우울한 기분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3. 진화적 본능

과거 인류는 고열량 음식을 섭취해야 생존 가능성이 높아졌다.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본능적으로 고칼로리, 고당분 음식을 찾게 되는 경향이 있다.

 

4. 습관과 심리적 위안

어릴 때부터 힘들 때 단 음식을 먹으며 위로받았던 경험이 있다면, 무의식적으로 스트레스 상황에서 같은 행동을 반복할 가능성이 높다. 초콜릿이나 케이크 같은 달달한 음식은 심리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다.

 

 

 

 

 

당분 중독(Sugar Addiction) 원인과 위험성

 

1. 당분 중독의 원인?

① 도파민 분비 증가 : 설탕을 섭취하면 뇌에서 도파민(Dopamine)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된다. 도파민은 쾌락과 행복감을 주지만, 반복적으로 당을 섭취하면 뇌가 더 많은 설탕을 요구하는 의존성(중독 현상)이 생긴다.

② 혈당 급상승과 급락 : 단 음식을 먹으면 혈당이 급격히 상승하지만, 이후 인슐린이 분비되면서 혈당이 빠르게 떨어진다. 이 과정에서 피로감, 집중력 저하, 다시 단 음식이 먹고 싶은 욕구 반복되며 당분 중독이 심화된다.

③ 스트레스와 감정적 요인 : 스트레스를 받으면 코르티솔(Cortisol) 호르몬이 증가하며, 몸이 빠른 에너지를 원하게 된다. 이때 설탕이 들어간 음식을 먹으면 일시적으로 기분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어 습관적으로 단 음식을 찾게 된다.

 

2. 당분 중독의 위험성

  • 비만과 대사 증후군: 체중 증가, 당뇨병, 고혈압, 지방간 등.
  • 충치 유발: 설탕은 구강 내 세균의 먹이가 되어 충치를 증가.
  • 피로 및 집중력 저하: 혈당이 급변하면 피로감이 쉽게 찾아오고, 집중력이 저하.
  • 정신 건강 문제: 당분 섭취와 우울증, 불안증이 관련이 있다는 연구도 있다.

 

3. 당분 중독 해결 방법

  • 천연 단맛 활용: 정제된 설탕 대신 과일, 꿀, 스테비아 같은 자연 감미료를 사용.
  • 복합 탄수화물 섭취: 흰 빵, 흰 쌀 대신 현미, 고구마, 귀리 같은 천천히 소화되는 탄수화물을 선택.
  • 인공 감미료가 들어간 음료(탄산음료, 가당 커피) 대신 물, 허브차 마시기.
  • 정제된 설탕이 많이 들어간 가공식품(시리얼, 빵, 소스 등) 피하기.
  • 식사 후 단 음식을 찾는 습관 대신 견과류, 다크초콜릿(카카오 70% 이상) 섭취.
  • 규칙적인 운동: 유산소 운동(걷기, 러닝, 수영 등)은 혈당을 안정시키고 당분 욕구를 줄이는 데 도움.
  • 스트레스 관리: 명상, 요가, 깊은 호흡을 통해 스트레스 해소.
  • 충분한 수면: 수면 부족은 식욕을 조절하는 호르몬(렙틴, 그렐린)의 균형을 깨트려 단 음식을 더 원하게 만든다.

 


 

 

당분 중독은 단순한 식습관 문제 보다는 뇌와 호르몬, 감정과도 깊은 연관이 있으니,, 건강한 대체 식품과 생활 습관을 형성해서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아직 날씨가 추우니 동네 헬스장에 가서 런닝이라도 뛰어야 겠다.

달달한 음식이 스트레스 해소에 일시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겠지만,,, 건강 문제 유발하게되니 건강한 대안을 선택하여 이겨내보도록.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