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장인의 일상과 연결된 정보

직장인의 야근 야근은 습관? , 야근을 하는 이유

 

 # 야근 

 

i는 평일에 약속 잡기 쉽지 않다. 야근이 잦기 때문이다. 너무나도 슬픈 이유이다.

회사에 도착해서 출근도장을 찍고 자리에 앉자 마자 드는 생각은  " 퇴근하고 싶다 "  이다.

i는 왜 항상 야근을 하는것일까.. 야근은 정말 습관인 걸까? 

분명 열심히 일을 하는데 무엇이 문제인지, 야근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1.  직장인의 야근 문화와 원인 분석 

한국의 직장인들은 세계적으로도 긴 근무시간을 기록하며, 야근이 일상적인 업무 패턴이 되고 있다. 야근의 주요 원인은 기업 문화, 업무 과다, 경쟁적인 환경, 그리고 법·제도의 한계 등으로 분석할 수 있다.

 

 

 

2.  직장인의 야근 이유 TOP 5 

 

1) 기업 문화 및 조직 분위기

  • 한국의 직장 문화는 상명하복과 집단주의적인 성격이 강하다.
  • 상사의 퇴근 전에는 부하 직원이 먼저 퇴근하기 어려운 분위기가 존재한다.
  • 동료들이 야근을 할 경우, 혼자 먼저 퇴근하기 어려운 압박감이 있다.

2) 업무 과다 및 부족한 인력

  • 한 명의 직원이 맡아야 하는 업무량이 많아 야근이 불가피하다.
  • 인력이 부족하거나, 인건비 절감을 위해 적은 인원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 업무가 끝나지 않으면 퇴근하지 않는 분위기가 조성된다.

3) 경쟁과 실적 압박

  • 성과 중심의 기업 문화로 인해 업무 목표 달성을 위해 추가 근무가 필요.
  • 인센티브 및 승진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 스스로 야근을 선택하는 경우.
  • 신입사원의 경우, 자신의 능력을 입증하기 위해 스스로 야근하는 경우.

4) 비효율적인 업무 프로세스

  • 보고서 작성, 불필요한 회의, 비효율적인 업무 프로세스로 인해 정규 업무시간에 업무를 끝내기 어려움.
  • 긴 회식이나 불필요한 대기 시간 등이 업무 집중도를 떨어뜨려 야근으로 이어짐.

5) IT·금융·스타트업 등의 업계 특성

  • IT, 금융, 스타트업 업계는 프로젝트 중심으로 업무가 진행되며, 기한을 맞추기 위해 야근이 빈번하다.
  • 글로벌 기업과 협업하는 경우, 시차 문제로 인해 야근이 발생할 수 있다.

 

3. 야근을 줄이기 위한 해결 방안 

 

  1. 업무 효율화: 불필요한 업무 줄이기, 자동화 시스템 도입
  2. 유연 근무제 도입: 재택근무, 탄력근무제 활용
  3. 기업 문화 개선: 정시 퇴근 문화 정착, 업무 평가 기준 변경
  4. 정부 정책 강화: 주 52시간 근무제 정착 및 실질적인 감시 강화

 


 

i의 회사는 퇴근 눈치는 안본다. 

야근은 습관이다 라고 말하는 상사분이 계셨는데, 너무 화가 났던 기억이 있다.

그럼 일을 대충 날리면서 하라는 말인가?

퇴사한 직원 중 비교적 퇴근시간이 빠른 사람이 있었다.

그분이 맡았던 업무의 내용을 보니 일찍 퇴근할만 하다는 생각이 들었던적이 있었다.

대충해서 빨리 끝난것이였다.

혹시 i가 느린건가 생각되어 한가지 업무를 처리하는데에 걸리는 시간을 재보기도 했다.

이것은 분명 인력부족과 업무과다로 인한 야근이다.

지금은 그 상사와 다른 회사를 다니고 있다. 

아직도 그가 내뱉은 말은 도무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

 

 

 

-끝-